급하게 답변을 하느라 부족한 부분이 많이 보입니다.
커리큘럼 개발 연구가로서의 직무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질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교육가로써의 마인드와, 각 분야에서 필요한 인재의 전문적인 경험 및 서로 승승장구 할 수 있는 지혜롭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이 밑 바침이 되어야 하며, 조율적으로 즐겁게 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영어 교재와 커리큘럼을 개발의 절차와 과정이 궁금합니다. 각 각의 교육기관에 따라서 다 다르긴 하지만, 해당 교육기관의 니드에 따라서 중요한 순위와 완성되어야 할 기간을 정하여, 임무를 수행할 합당한 인재를 배치시킨 후에, 계획데로 절차를 밟아 나갑니다. 학원을 운영할때 갈수록 늘어날 학생을 생각해본다면 체계적인 시스템은 필수입니다. 그 과정중에는 가르치는 강사와 프로그램 및 경영방식, 홍보 등등의 많은 것들이 있지만, 이것들이 잘 조화되어 이어져 간다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같은 분야의 학원 혹은 같은 프랜차이즈여도 각 지역에 따른 성향이나 어떻게 관리를 하느냐에 따라서 많이 좌지 우지 됩니다. 그래서 문제를 파악하려면, 우선 어떠한 실무자에 의해서 어떤 학원이 어떻게 운영이 되느냐와 각 학원의 특징들을 파악한 후, 살려야 할 것들과 버려야 할 것들을 정리한 뒤,각 지역의 특성과 대상에 따른 접근과 홍보 방법,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의 성향, 흐름 및 기타 등등을 적용시킵니다.
커리큘럼 개발연구소의 개발팀에 지원하는 데 유리한 요건과 구체적인 업무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저희는 다양한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으로써, 각 분야에 따라 요건들이 달라집니다. 영어를 티칭할 한국인 영어강사부터 시작하여, 교포 및 원어민들까지 미경험 및 경험자들과, 그 인적자원들을 적절한 해당업체에 파견하여 관리 하는 관리자(헤드헌터,리크루터에 해당)와, 실전에서 쌓은 다양한 관리 경험이 있는 연구원들(교수부장,부원장,원장,실장 및 교재개발자 등), 그리고 마지막으로 함께 조율해나갈 각 다양한 분야들의 심리가들 및 유아,청소년 교육 전문가들이 커리큘럼개발 연구소가 원하는 인재들입니다.
최근에 ‘에니어그램의 지혜(돈 리차드 리소)’라는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커리큘럼 개발 연구소 홈페이지의 Maniging 카테고리에 에니어그램이 있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에니어그램이 커리큘럼 개발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우리가 격지못하여 모르는 다른 부분에 대한 정보들임으로 직접 겪으며 실패를 겪을지모를 시간을 단축시킬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자기이해, 조직관리 등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부모와 교육자로서는 학생들의 성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어 기질에 맞는 맞춤식 교육이 수월해 질 수 있으며, 더욱 효율적인 교육이 될 것입니다.
선진국의 교육방식과 관련하여 우리 교육이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나아가야할 방향과 그 방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당장 눈앞의 것을 보고 남들이 한다고 다 따라하기 보다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계획을 세우고 조급해 하지 말고, 체험을 통한 이해 및 경험 할 수 있는 위주를 통하여 좀 더 넓은 시야와 크게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늦었다 하더라도 시작 안하는 것 보다는 낫고 그 무엇보다 부모와 우리 교육자들이 늘 부지런하게 깨어 모범된 모습들을 보이며 함께 즐길 수 있는 수업이 되어야 합니다
20년 후의 ‘교육과정 연구원’이라는 직업의 전망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인공지능과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과학기술개발이 소장님과 같은 직업에 미칠 영항에 대하여 말씀해주십시오. 아무리 인공지능 컴퓨터나 다양한 과학기술이 개발이 되었다 하더라도, 인간의 본질은 사랑입니다. 진심으로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는 우리들의 마음 가짐과 자세라면 아무리 어렵게 느껴지는 어떠한 교육과정이라고 하여도 얻고 갑니다. 영향이 전혀 안 미칠수는 없지만, 미친다고 생각하면 미칠까 두려워 쫒기며 살 것이고, 그렇게 쫒길 시간에 조금이라도 더 긍정적이고 진취적으로 즐길수 있는 교육에 대하여 연구개발 한다면 많은 직업들이 도퇴될수도 있을지 모를 미래를 이끄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즐기는 자를 이길 것은 없습니다.
소장님의 교육이념이나 중요시하시는 가치에 대해 말씀해주십시오. 교육은 사람의 더 나은 미래와 함께 더불어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인간이 없이는 교육도 없는 것임으로, 진실로 사랑을 배제하고서는 그 무엇도 소용이 없습니다.
저처럼 교육과정 연구원을 꿈꾸는 학생들에게 소장님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낙지자(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거워하는 것만 못하다. 무슨 일을 할때 즐거운 마음으로 하면 능률도 배가 될것이다 라는 말이있습니다. 항상 모든일에 긍정적으로 즐거운 마음으로 대한다면 노력의 결과는 배신하지 않습니다. 미래를 이끌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이고 여러분 손에 달렸습니다!! ^^ 감사합니다.
2016.10.3